우리 아이들 모두 동기부여가 팍팍 되어서 원하는 일을 즐겁게 하고, 행복하게 산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런데 동기를 북돋우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중요한 것 두 가지를 꼽는다면, 자존감과 목표입니다.

 

자존감이란 뭘까요? '나 참 잘하고 있어. 내가 하면 참 잘해. 난 뭐든지 잘할 수 있어. 나란 존재는 참 괜찮은 존재야.' 이런 생각이 드는 것 아니겠습니까?

 

그럼 자존감은 어디서 올까요? 하늘에서 떨어질까요, 아니면 땅에서 솟을까요? 맞습니다. 자존감은 칭찬에서 옵니다. 인정, 존중, 지지, 칭찬을 받은 아이들이 자존감이 높을까요? 아니면 멸시, 천대, 비난, 경멸을 받은 아이들이 자존감이 높을까요? 당연히 전자의 아이들입니다. 그래서 자존감 형성은 선천적 요인보다 후천적 요인이 큽니다. 어떤 일을 했을 때 칭찬을 들으면 그 일을 더 잘하고 싶을 겁니다.

 

에디슨 어머니와 저를 한번 비교해보겠습니다. 에디슨이 말을 잘 들었습니까? 아시다시피 에디슨은 세계적인 말썽쟁이였죠. 그러나 에디슨 위인전 그 어디에도 부모님이 아이를 야단쳤다는 내용은 찾아보기 힘듭니다. 선생님을 얼마나 힘들게 했는지 에디슨은 초등학교 2학년 때 퇴학을 당합니다. 그래도 그의 어머니는 "너는 그 사람들과 조금 다를 뿐이야" 하고 아들의 독특한 행동을 인정해주면서 받아줍니다. 또한 "엄마와 함께 재미있게 공부하자"라며 에디슨 눈높이에 맞춰 공부를 가르쳐주었습니다.

 

에디슨이 부린 말썽 중 유명한, 닭장에서 알을 품는 일화가 있습니다. 만약에 우리 아이들이 알을 품었으면 저는 어떻게 했을까요? 닭장에 당장 쫓아 들어가 일단 등짝부터 때렸을 겁니다. 그리고 "네가 여기서 알이나 품을 때야? 얼른 가서 숙제하고 공부해"라고 야단을 쳤을 겁니다.

 

또한 "너는 조류 인플루엔자가 유행인지도 몰라? 뉴스도 못 봤어?" 라고 다그치며 "얼른 일어나, 닭털이 콧속에 들어가면 어떻게 되는지 알아? 기관지도 약한데 기침하면 어쩌려고. 얼른 가서 샤워해"라고 윽박질렀을 겁니다. 제 나름대로는 기관지 약한 우리 아이들을 생각하고, 위하는 마음에서 야단친 것이었을 겁니다.

 

하지만 에디슨 어머니는 남달랐습니다. 그녀는 아이가 놀라지 않게 살금살금 닭장으로 들어가 아이의 귓전에 대고 부드럽고 잔잔한 목소리로 "너는 어떻게 이런 기발한 생각을 했니? 앞으로 대단한 일을 하겠구나"라며 칭찬했다고 합니다. 아이의 호기심과 잠재력을 인정하고 칭찬한 것입니다.

 

아이들이 하는 일은 거의 비슷합니다. 어떤 아이라고 태어나면서부터 대단하고 훌륭한 일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부모가 아이 행동을 인정해줘야 아이 자존감이 올라가고, 이것도 저것도 해보고 싶은 동기부여의 싹을 키울 수 있습니다.

 

에디슨 어머니가 "한 번만 더 그런 짓 해봐. 집에서 쫓겨나는 수가 있어!"라며 혼을 냈다면 에디슨은 다시는 그런 일을 하지 않았을 것이고, 결국 오늘날의 에디슨도 없었을 것입니다. 에디슨은 계속 엉뚱한 시도를 하면서 전기를 발명하고, 결국 인류 문명에 엄청난 기여를 하게 됩니다. 전기 발명은 알다시피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닙니다. 수많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에디슨에게 자존감이 없었으면 그 역경을 이겨낼 수도 없었을 겁니다. 에디슨 어머니는 어려서부터 인정, 존중, 지지, 칭찬을 통해 아들의 자존감을 키워주었고, 그 자존감이야말로 에디슨이 어려움 속에서도 다시 일어나는 힘이 되었습니다. 이처럼 인정, 존중, 지지, 칭찬은 자존감을 살리는 핵심 요소이면서 코칭의 가장 중요한 기술입니다.

 

엄마 반성문_ 이유남

by 미스터신 2018. 1. 15. 12:12

자녀를 성품도 역량도 탁월한 '금상첨화'의 사람으로 키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스스로 생각하고, 선택하고, 행동하는 능력, 즉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갖춘 아이로 키워야 합니다. 저는 뒤늦게 여러 공부를 하고 나서야 두 아이가 왜 학교를 그만두었는지 깨닫게 되었습니다. 두 아이들은 타인주도 혹은 엄마주도 학습을 했던 것입니다.

 

저는 아이들의 스케줄을 쫙 짜주었습니다. 월요일 가는 학원, 화요일 가는 학원, 수요일 가는 학원을 일일이 다 짜주었습니다. 아이들은 엄마가 하라는 숙제를 하고, 엄마가 가라는 학원에 가고, 엄마가 풀라는 문제집을 풀고, 엄마가 읽으라는 책을 읽으며 자랐습니다.

 

우리 반 아이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아이들은 제가 가르치는 해에는 공부를 잘했습니다. 그런데 학년을 올려 보내면 여지없이 성적이 떨어졌습니다. 부모님들은 "선생님께 배울 때는 공부를 잘했는데, 학년이 올라가니 성적이 떨어져 걱정이에요"라고 했습니다. 이런 말을 들으면 '나는 잘 가르쳤는데 다른 선생님들은 그렇게 못 가르치는구나'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사실은 제가 선생님이 주도하는 학습으로 밀어붙였기 때문이었습니다.

 

타인주도 학습은 언젠가 한계에 다다릅니다. 우리 집 아이들에겐 고3과 고2가 그때였는데, 아이에 따라 시기가 다를 뿐 누구에게나 언젠가는 반드시 한계에 부딪히는 날이 옵니다.

 

제가 대학에서 강의할 때 보니 많은 학생이 그 힘든 입시 지옥을 뚫고 비싼 등록금 내고 입학을 했다가 1학년 1학기도 채 마치지 못하고, 학교를 그만두는 것이었습니다. 일명 '반수'를 하러 가는 거였습니다. 2학기에도 많은 학생이 사라집니다. 재수하러 가는 것이지요.

 

그나마 1학년 때 그만두는 학생들은 용기 있는 학생입니다. 부모가 무서워서, 무엇을 해야 할지 몰라서 그냥 다니는 학생들도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학점 이수가 안 되어 4년이 지나도 졸업을 못 하거나, 어찌어찌 힘들게 졸업한다 해도 이것이 본인의 길이 아니라는 생각에 다시 대학 가는 학생들도 있습니다. 취업했다가 다시 대학 가는 사람들도 있고, 4년제 대학 졸업하고 다시 전문대를 가는 학생들도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이 문제의 가장 큰 원인은 어린 시절부터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선택하고, 스스로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지 못한 데 있습니다. 부모나 교사가 시키는대로 하는 것에만 길들여져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다 보니 수능 성적에 맞춰 부모님이, 선생님이, 학원 강사가 가라는 대학에 가는 것이죠. 자기 스스로 못 하고, 타인에 의해 선택을 강요당하면서 안타까운 결과가 속출하는 것입니다. 결국 시간 낭비, 돈 낭비, 에너지 낭비, 인생 낭비인 셈입니다.

 

그렇다면 자기주도 학습 능력은 어떻게 생길까요? 많은 교육학자들은 세 가지를 꼽습니다. '동기, 행동, 인지'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동기'라고 합니다

 

무엇을 배울 때 '동기'는 정말로 중요한 요소입니다. 동기란 가만히 앉아 있어도 뭔가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것입니다. 우리 아이들이 이런 말을 하면 얼마나 좋을까요?

 

"엄마, 난 잠이 안 와."

"왜?"

"공부하고 싶어서."

 

아이가 이런 말을 하면 또 어떨까요?

 

"엄마, 아침에 밥 좀 빨리 해주면 안 돼? 난 이 세상에서 학교 가는 일이 제일 좋은데, 엄마가 밥을 늦게 줘서 학교를 빨리 못 간단 말이야."

 

"아빠, 방학은 왜 이렇게 길어요? 빨리 방학이 끝났으면 좋겠다. 이번 주말은 서점에 가요. 읽고 싶은 책이 너무 많은데, 우리 집엔 책이 없어요. 텔레비전 좀 꺼주세요. 텔레비전 소리 때문에 공부를 할 수가 없어요. 엄마 아빠는 눈치 없이 왜 텔레비전을 자꾸 켜시는 거예요?"

 

우리 아이들이 이런 말을 한다면 더 바랄 것이 없겠지요? 그런데 아이들은 잘 하지 않습니다. 바로 동기부여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이 하고 싶은 일을 할 때는 어떤가요? 그런 일을 할 때는 시간가는 줄도 모르고, 식사 시간이 되어도 나중에 먹겠다는 경우가 있지 않습니까? 우리 아이들도 마찬가지일 겁니다. 그들이 원해서 공부를 하고, 원해서 해야 할 일을 한다면 정말 행복할 것입니다. 그 아이들을 바라보는 부모 역시 정말 행복할 것입니다.

 

엄마 반성문_ 이유남

 

by 미스터신 2018. 1. 15. 11:56

좋은 생활습관은 공부지능과 통한다

 

공부지능을 폭발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시기는 초등학교 6년이지만 태어날 때부터 고등학교 때까지, 아니 그보다 훨씬 오랜 시간동안 개발되는 지능이라 할 수 있다. 정서지능과 관련된 능력 중에는 60대에 정점을 찍는 것들도 있으니 평생에 걸쳐 개발되는 지능이라 해도 무방하다.

 

긴 세월 동안 공부지능 영역별로 집중 개발해 주어야 하는 적기는 제각각 다르다. 하지만 공부지능을 개발하는 내내 공통적으로 필요한 것들이 있다. 바로 잘 먹고, 잘 자고, 꾸준히 운동하는 좋은 생활습관이다.

 

생활습관이 공부지능과 무슨 상관이 있나 의아할 수도 있지만 꽤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공부지능을 관장하는 뇌는 균형 있는 영양소 섭취, 충분한 수면 시간, 꾸준한 운동을 통해 그 잠재력이 발휘된다. 그중 잘 먹는 것은 기본 중의 기본이다. 뇌는 우리가 하루에 섭취하는 열량의 약 18퍼센트를 소모할 정도로 신체 기관 중 가장 많은 에너지를 소비한다. 그도 그럴 것이 뇌는 24시간 내내 쉬지 않고 일한다. 잠을 자는 동안에도 우리가 생명을 유지할 수 있도록 뇌간을 풀가동한다. 그렇게 많은 일을 하니 충분한 에너지를 공급받아야 지치지 않고 일을 할 수 있다.

 

뇌에 에너지를 공급하려면 하루 세끼 규칙적인 식사를 해야 한다. 특히 아침밥은 거르지 않는 편이 좋다. 잠을 자는 동안 뇌는 주에너지원인 포도당을 다 소모해 아침이면 무척 배고픈 상태가 된다. 밥을 굶으면 기운이 없듯이 뇌도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면 인지능력도 떨어지고 집중력과 주의력도 떨어진다.

 

좋은 식습관과 더불어 운동과 수면도 공부지능을 개발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 즉, 생활습관은 후천적으로 공부지능을 높여 주는 환경적 요인인 셈이다. 그것도 어느 특정 기간에만 작용하는 요인이 아니라 공부지능 개발 적기 내내 꼭 필요한 요인이다.

 

매일 30분만 운동해도 머리가 좋아진다

 

공부 잘하는 아이들은 운동을 못할 것이라는 편견을 가진 사람들이 많다. 정말 그럴까? 2007년 3월 26일자 미국 시사 주간지 '뉴스위크'에 실린 내용은 이런 편견을 깨기에 충분하다. 일리노이 대학교 찰스 힐먼 박사는 초등학교 3학년과 5학년 259명을 대상으로 체질량을 측정한 뒤 앉은 채 팔 뻗기, 달리기, 팔굽혀펴기와 윗몸 일으키기 등의 기초 운동을 시켰다. 이후 아이들의 운동 능력과 일리노이주 학년 표준 시험에서 거둔 그들의 수학, 읽기 성적을 서로 비교했다. 결과는 운동 능력이 뛰어난 아이들이 공부를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만인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성취도가 낮았다.

 

운동을 하면 뇌 세포에 혈액과 영양이 잘 공급돼 뇌의 신경세포인 뉴런들을 이어 주는 시냅스를 많이 만들어낸다. 시냅스 수의 증가는 그만큼 두뇌의 기능이 발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운동을 할수록 지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향신경성물질이 많이 생긴다. 이 물질이 많을수록 더 많은 양의 지식을 습득할 수 있고, 고차원적인 사고도 가능해진다.

 

조지아 대학의 운동과학 교수 필 톰포로프스키도 운동이 뇌를 발달시키는 데 중대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운동을 하면 뇌의 전 영역이 두루두루 발달하지만 특히 전두엽에 엄청난 양의 뇌 조직이 성장한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현재 운동과 지능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노년층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 신체 운동이 뇌에 미치는 효과는 사실 어린아이에게 미치는 효과가 훨씬 더 강력하다. 전두엽은 약 20세가 될 때까지도 개발될 여지가 많이 남아 있으므로 적당량의 운동, 심지어 발야구 시합을 한 차례만 해도 뇌가 효과적으로 발달할 수 있다고 본다.

 

이런 연구 결과에 따라 미국 켄터키주 상원의원 케이티스타인은 8학년(우리나라 중2)까지 매일 30분씩 운동하도록 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일리노이주 네퍼빌에서는 언어능력이 떨어지는 학생들에게 읽기 수업을 하기 전에 체육 수업을 먼저 했는데, 그 결과 아이들의 성적이 많이 향상되었다. 그 밖에도 운동을 할수록 머리가 좋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속속 발표되면서 미국은 체육 수업을 강화해 매일 1시간씩 운동을 시키는 추세다. 미국뿐만 아니라 세계 많은 나라가 체육 수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공부지능을 개발하는 데 있어 운동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많은 부모가 아이가 책상 앞에 앉아 공부만 하기를 원하는데, 정말 아이가 공부를 잘하기 바란다면 매일 조금씩이라도 운동하는 습관을 들일 수 있도록 시간을 주어야 한다. 밖에 나가 30분만이라도 신나게 운동하면 오히려 공부지능이 개발되고 공부도 더 잘할 수 있다.

 

잘 자는 아이가 공부도 잘한다

 

내가 고등학교에 다닐 때는 '4당5락'이라는 말이 공공연히 나돌았다. 4시간 자면 합격이고 5시간 자면 떨어진다는 말로, 지금도 여전히 입시를 앞둔 학생들 사이에 떠도는 것 같다.

 

하지만 잠을 줄여 공부를 잘하겠다는 것만큼 어리석은 일도 없다. 특히 뇌가 활발히 발달하는 시기인 초등학교 6학년 때까지는 잠을 충분히, 잘 자야 한다. 그래야 뇌가 발달하고 공부지능을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

 

'수면 밸런스'의 저자 한진규 박사에 의하면 수면은 몸의 휴식과 회복, 학습 능력 향상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인간이 최고의 능력을 발휘하려면 하루 중 3분의 1에 해당하는 시간은 반드시 잠에 투자해야 하는 것이다.

 

잠은 몸과 마음의 피로를 풀어주는 동시에 기억력과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데 절대적인 역할을 한다. 뇌에 계속 자극을 주면 더 발달할 것 같지만 그렇지가 않다. 인간의 대뇌 신경세포는 일정 시간이상 계속 자극을 받으면 더 이상 반응하지 않는다. 이 시기를 '불응기'라고 하는데, 이때가 바로 지친 대뇌 신경세포들이 잠시 쉬는 시간이다. 뇌가 스스로 쌓인 피로를 풀기 위한 자구책인 셈이다.

 

인간의 뇌는 잠을 자는 동안 기억과 학습, 문제해결과 창의력, 비판 능력에 필요한 신경 네트워크를 자극하고 조직하는 데 꼭 필요한 신경전달 물질을 생성한다. 잠을 자는 동안 인간의 뇌는 외부의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 낮에 익힌 지식이나 기술 등의 방법을 다시 반복하며 저장한다. 낮에 짧은 시간 동안 기억한 단기 정보들을 잠을 자면서 장기 기억장소로 옮기는 작업을 하는 것이다. 단기 기억을 장기 기억으로 전환하는 것은 꿈을 꾸는 '렘 수면'을 하는 동안 주로 이루어진다.

 

렘 수면은 몸은 자고 있지만 뇌는 깨어있는 상태이다. 보통 잠이  든 뒤 약 90~120분 사이에 이루어진다. 잠자리에 누우면 서서히 잠이 들어 몸도 뇌도 모두 잠자는 깊은 잠에 빠졌다가 다시 서서히 뇌가 깨면서 렘 수면 상태가 되는 것이다. 잠을 푹 자야 렘 수면도 할 수 있다고 보면 된다. 렘 수면은 하룻밤에 4~7회씩 약 77분 간격으로 나타나고 사람마다 차이는 있으나 2~4회 정도 계속 반복된다. 기억을 잘 저장하고, 감정과 감성을 심리적으로 안정시키는 과정도 이때 일어난다고 한다.

 

이처럼 잠은 공부지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실제로 전날 낮에 공부를 한 뒤 밤에 충분히 잠을 자고 시험을 본 학생과, 밤을 세워 공부한 학생을 놓고 비교 분석을 했더니 충분히 잠을 자고 시험을 본 학생의 성적이 훨씬 더 좋게 나왔다.

 

특히 유아기 때 잠은 성장, 뇌 발육, 면역 기능 그리고 감성을 형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키가 작고, 집중력이 떨어지거나 주의력이 산만한 아이들의 약 40~50퍼센트가 수면 장애를 호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이러한 사실을 입증한다.

 

부모들은 대부분 아이가 부산한 행동을 하면 아이 탓으로 돌리며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가 아닌가 걱정하는데, 이럴 경우 먼저 아이에게 수면 장애가 있는지 살펴보는 게 좋다. 아이가 코를 골거나 입을 벌리고 자면 축농증, 비염, 소아 코골이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런 질병이 있으면 잠을 푹 자지 못해 성장호르몬이 잘 분비되지 않는다. 성장호르몬은 깊은 잠을 자는 첫 단계 즉, 잠들고 나서 1시간 정도 지난 뒤에 가장 많이 분비되므로 아이의 숙면을 방해하는 질병을 치료해주는 것이 급선무다. 그래야 키도 잘 크고, 면역력이 좋아지고, 공부지능도 좋아질 수 있다.

 

올바른 수면 습관을 길러주는 일도 중요하다. 성장호르몬은 밤 10시부터 새벽 2시에 가장 활발하게 분비되므로 아이들이 늦게 자지 않도록 해야 한다. 밤에 늦게 자는 아이들의 수면 습관을 고치기 위해서는 낮에는 가능하면 햇볕을 많이 쬐게 하고, 밤에는 형광등을 끈 뒤 암막 커튼 등으로 빛을 차단해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다.

 

아이의 공부지능_ 민성원

by 미스터신 2018. 1. 11. 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