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어떤 일을 하든 그 분야에서 성공하는 길은 농사와도 같다. 벼는 농부의 발소리를 듣고 자란다고 하던가. 허리를 구부려 밭을 갈고 눈물을 흘리며 씨를 뿌리고 뙤약볕에서 김을 매고 잊지 않고 제때 물을 줘야 한다. 무엇보다 농사꾼이라면 때를 앞서 결실을 따려는 욕심을 부려서는 안 된다.
농사는 당장 결과를 기대할 수 없는 활동이다. 개인적으로 과수원에서 포도 농사를 하는 사람을 알고 있다. 가만히 보면,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비가 오나 눈이오나 비료 주고 가지치기를 하고 일일이 봉투 씌우고 약 뿌리고 한다. 옆에서 너무 고생하는 걸 봐서 그런지 가을철에 포도 한 박스를 보내올 때면 공짜로 먹기 황송할 때가 많다.
투자도 농사와 똑같다. 씨를 뿌리고, 잡초를 관리하며, 수확할 때까지 기다려야 하듯 투자도 장기적인 계획과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렇게 하고도 성과가 있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잡초를 제거하고 비료를 주는 등 가을의 수확을 기대하며 놀리는 모든 손길이 자기 계발을 하는 과정이다. 조금이라도 소홀하면 병충해를 입거나 잡초에 짓눌리는 것처럼 자기 계발 없이는 달콤하고 튼실한 성공의 열매를 거둘 수 없다.
자기 계발은 농사에서 화학비료를 쓰듯 나무가 처음 싹수가 있다고 해서 모두 좋은 묘목이 되지 않는 것처럼, 못생긴 나무가 자라 큰 고목이 되는 이치와 같다. 자기 계발은 지적인 것일 수도, 신체를 단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오늘날 도시 문화는 무엇이든 즉각적인 결과를 산출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만족도, 성장도 당장 결론이 나야 한다. 3분 내 끝내는 게임과 동영상, 쇼츠에 익숙해지다 보니 상영 시간이 2시간 넘어가는 영화조차 진득하게 앉아서 시청할 인내심이 없다. 이와 관련해 스탠퍼드대학 애나 렘키 박사의 책 <도파미네이션>을 읽은 적이 있다. 현대인들이 도파민 중독으로 뇌를 길들여서라는 것이다.
생활 전반의 일이나 놀이에서 단기간 성과든 실패든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현대인은 불안해진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대인 관계, 어학 공부, 지적인 자기 계발 등 집중해서 시간을 꾸준히 투여해야 하는 과제는 뒷전으로 밀려나기 일쑤다.
지적인 자기 계발 중 독서는 투자자에게 가장 중요하다. 독서는 중요한 부의 거울이다. 난 바쁜 와중에도 한 달에 최소한 4권 정도는 읽으려고 한다. 틈나는 대로 국내외에서 나오는 주요 연구 자료를 찾아 읽는다. 영국 일간지 <파이낸셜 타임스>와 경제, 경영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오랜 친구다. 이 자료를 통해 뉴욕, 런던, 상하이에 가지 않고도 세계 경제나 금융 시장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 수 있다.
IMF 등을 통해 깊이 있는 자료를 읽는 것도 발전에 크게 도움이 되고 있다. 지난 몇 년 동안 내 주가 전망이 비교적 정확했던 것도 이 덕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투자의 핵심은 기다림의 미학을 발휘하는 것이고, 독서는 그 기다림의 동반자다. (중략)
모든 게 그렇겠지만 투자는 농사를 닮았다. 농사에 완벽이 없듯 나 역시 늘 경제 상황을 들여다보고 끊임없이 공부해야 한다. 공부에는 끝이 없다. 지금쯤이면 이골이 날 법도 한데 어제의 지식으로 오늘의 경제 상황을 분석하는 놀부가 되지 않으려고 오늘도 연구실의 불을 밤늦도록 밝힌다.
난 '누구나 부자 되는 00가지 방법'이나 '나는 00으로 수십 억을 벌었다'와 같이 유튜브나 서점 가판대를 점령한 현란한 수사에 동요하지 않는다. 어제 내가 돈을 벌었다고 돈의 모든 이치를 깨달았다는 만용을 멀리하기 때문이다. 그냥 어제처럼 오늘도 열심히 씨를 뿌리고 물을 주고 부지런히 가꿀 뿐이다. 나머지는 땅이 알아서 열매로 돌려준다.
절기는 괜히 있는 게 아니다. 오랜 경험을 토대로 만들어진 농사의 로드맵이다. 거시경제에서 말하는 여러 이론과 사이클 역시 이런 절기와 같다. 모든 것에는 사이클이 있다. 지혜의 왕 솔로몬은 "범사에 기한이 있고 천하 만사가 다 때가 있나니 날 때가 있고 죽을 때가 있으며 심을 때가 있고 심은 것을 뽑을 때가 있으며" (전도서 3장 1~2절) 라고 했다.
홍수나 가뭄을 예상해 우물을 파고 둑을 막아 대비를 하듯 투자 역시 최악의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달걀을 바구니에 담듯 안전하게 배분해 투자해야 한다. 그렇게 땀으로 거둔 열매는 저마다 차익 실현, 목표한 금액, 성공으로 돌아올 것이다. 제때 거두지 않으면 썩어버린다. 때를 대비하라. 어떻게 전망하고 준비할 수 있을까? 나는 오늘도 밭에 나가며 땅에서 투자의 지혜를 구한다.
부의 거울_ 김영익 교수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팝콘 브레인 현상_ 김경일 (0) | 2024.06.06 |
---|---|
대표적인 간접 경험, 독서의 효과_ 김경일 (0) | 2024.05.18 |
나를 일으키는, 성장을 위한 독서법_ 이지영 (3) | 2023.10.22 |
생각의 격자_ 정희원 (0) | 2023.09.28 |
뇌를 복리로 성장시킨다면_ 자청 (0) | 2023.08.19 |
인생을 바꿀 3번의 기회_ 박세니 (0) | 2023.03.04 |
슈퍼리치의 독서는 무엇이 다를까_ 빠숑(김학렬) (1) | 2022.09.11 |
책 속에 사람이 있다_ 김도윤 (0) | 2022.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