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ttimes.co.kr/index.html?no=2015090110057731186

 

★ 구리시 인창동 현대홈타운 아파트 영재교실

by 미스터신 2015. 9. 2. 19:20

 

삼형제가 달력을 보고 있었는데, 막내가 달력에 쓰인 한자를 다 읽을 수 있다는 듯이 큰 소리로 읽었다.

 

" 월, 화, 수, 목, 김(金), 토, 일. "

 

그러자 둘째가 막내의 뒤통수를 때리며 말했다.

 

" 바보야, 그건 김이 아니라 금이야. 월, 화, 수, 목, 금, 사(士), 일이야."

 

이번에는 첫째가 둘째의 머리를 쥐어 박으며 말했다.

 

" 멍청아, 그건 사가 아니라 토야. 월, 화, 수, 목, 금, 토, 왈(曰). "

 

이 광경을 지켜보던 아버지가 혀를 끌끌 차며 말했다.

 

" 너희는 한문 실력이 왜 그 모양이냐? 당장 가서 왕(玉)편 가져오너라."

 

※ 2015년 한자자격시험 9.5(토) 오전 11시, 구리시 수택고등학교

 

★ 구리시 인창동 현대홈타운 아파트 영재교실

'유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놀부의 시계  (0) 2015.07.10
장희빈의 최후  (0) 2015.07.10
주정꾼과 과객.  (0) 2015.05.09
사오정의 정답.  (0) 2015.05.09
비타민 편지 | 김아영  (0) 2015.03.17
책임감이 강한 초등학생  (0) 2015.02.18
by 미스터신 2015. 9. 2. 19:05

 

그저께는 정원을 다듬고 난 뒤에 남은 돌을 그냥 두기가 아까워서 산신각 뒤에 야트막하게 축대를 쌓았다. 덕분에 어지럽던 뒤쪽이 깔끔하게 정리되었는데, 이 일은 석공의 힘을 빌리지 않고 어깨너머 배웠던 내 솜씨를 발휘한 것이다. 들쑥날쑥하고 울퉁불통 한 돌을 앞줄 아귀를 맞추어서 놓으니까 반듯한 모양새가 되었다. 아주 못생긴 모양이라서 석공 손에서 천대받았던 돌이 나를 만나서 비로소 쓰임새가 있게 된 셈이다.

 

네모진 돌이든 세모진 돌이든 저마다 앉을 자리가 따로 있는 것 같다. 이런 일을 하면서 담장을 쌓는 데는 크고 작은 돌과 모나고 둥근 돌이 다 필요하다는 것을 새삼 느꼈다. 어떤 생김새든 저마다의 쓰임이 따로 있는 것. 여기에 조화와 균형의 비밀이 숨어 있다.

 

스님의 일기장, 현진스님

 

★ 구리시 인창동 현대홈타운 아파트 영재교실

by 미스터신 2015. 8. 31. 1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