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세고에 겐사쿠에 해당되는 글 1건
- 2016.04.26 생각은 자아를 단단하게 만든다_ 조훈현
바둑에는 '류'라는 것이 있다. 바둑을 두는 기풍을 뜻하는 말인데, 여기서 각자의 성격과 추구하는 바가 나타난다. 나의 바둑은 제비처럼 빠르고 화려하다는 평가를 듣는다. 틀에 얽매이지 않고 모험을 무릅쓰는 격렬한 경기를 펼친다는 것이다. 반면에 이창호는 무디고 평범하다는 평가를 듣는다. 상대의 도발에도 무한정 인내하면 묵묵하게 자기 갈 길을 간다. 그래서 그에게는 '돌부처'라는 별명이 붙었다.
서봉수는 진흙탕 싸움을 두려워하지 않는 싸움바둑으로 '잡초'라는 별명을 얻었다. 유창혁은 두텁고 화려한 공격으로 '일지매'라 불린다. 이처럼 튼튼한 바둑 세계를 구축한 자들은 모두 자신만의 '류'가 있다. 이러한 '류'는 절대적으로 강한 것이 없다. 서로 맞서 싸웠을 때 어느 류에는 강하게 작용하고 어느 류에는 약하게 작용하는 면이 있지만 꼭 그런 것도 아니다. 모든 류가 강점과 약점을 지니고 있기에 서로 보완하고 발전하면서 끝없이 진화한다.
바둑 기사에게 자신만의 '류'는 일종의 자아다. 바둑을 어떤 식으로 놓는다는 것은 세상을 어떤 식으로 살아가겠다는 나만의 선언이다. 그래서 거장들의 바둑 대결은 이러한 세계관과 가치관의 충돌처럼 다가온다. 바둑이 무려 4천 년을 살아남았고 아직도 건재한 이유는 단순한 게임이 아니라 그 속에서 인생관과 삶의 철학을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요즘 한국 바둑에서 새로운 류를 발견하는 게 참 어려운 일이 되었다. 신인들이 바둑을 두는 걸 보면, 참 잘 두긴 한다. 그런데 꼭 어디서 본 것 같은 바둑이다. 누군가의 기보, 누군가가 창안한 정석을 그대로 두고 있다는 느낌을 많이 받는다. 이쯤 해서 창의적인 수가 하나 나올 법도 한데 아무리 기다려도 빤한 수만 나온다. 요즘 바둑이 왜 이렇게 재미없냐는 애호가들의 불평이 쏟아진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 나는 그 이유가 교육에 있는 게 아닐까 생각한다.
요즘 바둑 교육은 학원식이다. 학원식은 선생이 붙잡고 하나하나 가르쳐준다. 어떻게든 빠른 결과를 내어 학생과 부모에게 만족감을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이들에게 상상의 자유를 주기보다는 공식을 외우게 한다. 생각하면서 바둑을 두는 것이 아니라 공식대로 두도록 가르친다. 그 결과 아이들의 바둑 시합은 생각을 겨루는 것이 아니라 누가 더 많은 정보를 넣어두었나를 겨루는 시험 같은 것이 되어버렸다. 이런 식의 바둑 교육으로는 자기만의 '류'가 나올 수가 없다. 주입식 교육을 받은 아이가 교과서 밖의 지식을 상상할 수 없는 것과 같다. 틀에 박힌 교육은 틀에 박힌 사고, 그리고 틀에 박힌 자아를 만든다. 생각이 한정되면 자아도 한정될 수밖에 없다.
내 인생 최대의 행운은 나의 자아를 원형 그대로 보존해준 좋은 스승을 만났다는 것이다. 나의 스승인 세고에 겐사쿠는 우리나라에는 대중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일본에서는 현대 일본 바둑을 태동시킨 영웅으로 추앙받는 인물이다. 선생님은 평생 딱 세 명의 제자만 받으셨다. 세계 바둑의 흐름을 바꿨다고 평가받는 우칭위안과 관서기원의 창시자인 하시모토 우타로 그리고 나, 이렇게 셋이다. 우칭위안은 1930~1950년대 일본 정상급 바둑 기사들과의 '치수고치기 10번기'에서 모조리 상대의 치수를 고쳐 '기성'으로 추앙받은 인물이고, 하시모토는 1940~1970년대에 걸쳐 본인방전, 왕좌전, 십단전, 기성전을 무려 아홉 번이나 우승한 인물이다. 그리고 나는 세계 최초의 바둑 올림픽인 잉창지배에서 우승하여 챔피언이 되었으니 선생님은 제자 세 명을 모두 세계 1인자로 길러내신 셈이다.
나는 열한 살 때 선생님의 생애 마지막 내제자가 되어 9년을 함께 살았다. 아담한 크기의 일본식 목조주택에 여든이 넘은 선생님과 열살배기 나, 그리고 선생님의 며느님인 마마짱과 나중에 같이 살게 된 아키다 강아지 벵케이, 이렇게 넷이 살았다. 그런데 그 9년 동안 선생님에게 바둑을 배운 적은 그야말로 손가락을 꼽을 정도다. 선생님은 지도 대국에 인색하셨다. 아주 가끔 복기를 해보라고 하는 것 외에는 거의 말씀도 잘 안 하셨다.
어린 마음에 서운한 생각을 많이 했었다. 연세가 너무 많아서 정신이 어두워진 건 아닐까, 나를 왜 불러들였는지 잊으신 게 아닐까 걱정을 한 적도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생각이 잘못되었다는 걸 몇 년이 흐르고 난 후에야 깨달았다. 어느 날 저녁 식사때 선생님이 내 얼굴을 골똘히 들여다보시더니 이런 말씀을 하셨다.
"내가 답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느냐? 답이 없는 게 바둑인데 어떻게 너에게 답을 주겠느냐. 그 답은 네 스스로 찾아라."
그러면서 덧붙이셨다.
"답이 없지만 답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게 바로 바둑이다."
정말로 9년 동안 함께 살면서 세고에 선생님은 나에게 바둑을 어떻게 두라든지, 그렇게 하지 말고 이렇게 두라는 식의 말씀을 단 한 번도 하신 적이 없다. 내가 밖에 나가서 누구와 어떤 바둑을 두고 돌아다니는지를 뻔히 알면서도 일체 간섭하지 않으셨다. 나는 그야말로 아무 틀 없이 자유분방하게 바둑을 배웠다.
선생이 헤매는 학생에게 답을 알려주는 건 아주 쉬운 해결책이다. 그런데 그렇게 되면 학생은 그 답을 받아먹을 뿐 깨달음을 얻지 못한다. 깨달음은 오직 스스로 생각하는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세고에 선생님은 바둑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정확히 알고 계셨다. 스승은 그저 방향만 제시할 뿐, 혼자 공부하도록 내버려두는 게 올바른 바둑 교육이었다. 선생님의 이러한 교육 방식 덕분에 나는 단 하나의 묘수를 찾아내기 위해 수많은 밤을 끙끙거리며 황금 같은 10대를 보낼 수 있었다.
공식을 외워서 문제를 푸는 건 매우 쉽다. 하지만 그러한 방식은 조금이라도 공식에서 벗어난 문제가 나오면 힘을 쓰지 못한다. 반대로 혼자서 실컷 헤매본 사람은 공식 따위는 몰라도 된다. 생각을 하면서 자신만의 해법을 찾아내면 되기 때문이다.
정형화된 바둑 교육을 받아본 적이 없기에, 나는 언제나 내 방식대로, 내 마음대로 바둑을 두었다. 그것이 나중에 나만의 공격형 바둑으로 자라서 '제비행마', '마술사', '화염방사기'라는 독특한 평가를 받게 된 것이다.
생각의 자유를 주면 아이들은 스스로 생각한다. 스스로 생각하는 아이들은 개성이 강해지고 자아가 단단해진다. 인생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이끌어갈 자신감과 확실한 인성이 형성될 수 있다.
생각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 어느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 그 답을 알려주는 도구다. 생각할 줄 모르는 사람은 일상의 작은 선택마저도 남들의 생각을 물으며 눈치를 보아야 한다. 이래야 할 지, 저래야 할 지 걱정하고 불안해하며 도움을 구해야 한다.
최근 몇 년 사이에 고민을 상담해주는 인생 멘토들이 폭발적으로 많아지고 있는 이유는 뭘까. 그만큼 혼자 힘으로 생각할 수 없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증거가 아닐까. 이는 그만큼 불안한 자아를 가진 채 살아가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는 뜻은 아닐까.
사람들은 행복이 돈이나 명예, 성공에서 온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나는 진짜 행복은 단단한 자아에서 온다고 믿는다. 자아는 자존감이다. 자아가 단단하면 어떤 상황에도 흔들리지 않는다. 남들의 시선이나 사회적 잣대에 휘둘리지 않고 신념대로 행동한다.
물론 이러한 자아는 거저 얻을 수 없다. 스스로 생각하는 습관과 자기 성찰, 깊이 있는 사고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 어디 가서도 눈치 보지 않고, 주눅 들지 않고, 자신의 소신을 당당하게 밝히고 신념대로 행동하는 사람, 그런 사람이 되려면 스스로 생각할 줄 알아야 한다.
조훈현, 고수의 생각법 / 조훈현
★ 구리시 인창동 현대홈타운 아파트 영재교실
내향성 죽이기_ 진민영 (0) | 2021.04.06 |
---|---|
사람이 가장 필요로 하는 감정은 '감사'_ 아파테이아 (0) | 2017.06.23 |
인생은 선택, 선택의 기준은 '내 뜻!'_ 아파테이아 (0) | 2017.06.23 |
'옆집 아줌마'의 현실 인식_ 강수돌 (0) | 2016.03.14 |
기-승-전-공부_ 전승주 교수 (0) | 2016.03.13 |
쓸모없음의 쓸모_ 김형철 (0) | 2015.12.31 |
'없음'과 '버림'의 상관관계_ 허태수 (0) | 2015.12.30 |
아이와 함께 살면서 가르치고 길러라_ 박경애 (0) | 2015.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