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이 아버지의 권위에 눌려 서로 표현하지 못하는 관계가 된다면 남은 건 가족의 해체뿐이다. 독재적인 아버지 밑에서 자란 아이의 공격적 성향은 상상을 초월한다. 삶의 기술이라고는 반항밖에 없어 수많은 불행이 찾아온다.

 

독재자로 군림하는 부모는 어머니보다 아버지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아마도 우리나라가 전통적인 가부장적 제도 속에서 남자의 권위를 세워주는 풍습을 오랫동안 유지한 까닭이 아닌가 싶다.

 

아버지는 마치 한 왕국의 전제군주처럼 가정을 다스리려고 한다. 아내와 자식 모두 자신에게 순종적이어야 하며, 만약 자신의 말을 어기고 멋대로 행동한다면 그것을 용서할 수 없는 행위로 간주해 무소불위의 독재권력을 휘두른다.

 

이런 가정에서는 서로의 영혼을 보듬어주는 따뜻한 애정 기류가 형성되기 힘들다. 다만 군주의 엄격한 명령과 일사분란하게 움직이는 부하의 절대복종이 있을 뿐이다.

 

그러나 가족은 상하 개념으로 묶을 수 있는 관계가 아니다. 가장 1차적인 사회집단이라고 하지만 일반 사회집단에서 찾을 수 없는 게 하나 있다. 바로 조건 없는 사랑과 헌신이다. 내 아내가, 내 남편이, 내 아이가 세상의 거친 바람 속에서 용기를 잃고 방황할 때 안아줄 수 있는 사람들은 가족밖에 없다. 그리해야 할 가족이 아버지의 권위에 눌려 서로 표현하지 못하는 관계가 된다면 결국 남은 건 가족의 해체뿐이다.

 

"아버지가 시키면 우린 한다."라고 말하는 청소년들도 있었다. 그러나 그 아이들이 과연 아버지가 시키는 대로 다 할까? 물론 아니다. 극약처방은 한두 번은 통해도 자주 처방하면 만성중독이 되어 서로 피곤해질 따름이다. 독재적인 아버지 밑에서 자란 아이의 공격적 성향은 상상을 초월한다. 마치 때리면 때릴수록 탄력이 붙어 더 높이 튀어 오르는 공처럼 점점 거칠게 변해간다. 게다가 삶의 기술이라고는 반항밖에 없으므로 예기치 않은 불행이 많이 찾아온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영화 <샤인>의 주인공을 잠시 떠올려 보자. 내한공연을 갖기도 했던 호주의 천재 피아니스트 데이비드 헬프갓은 독선적이고 권위적인 아버지 때문에 철저하게 삶이 파괴된 기억을 가지고 있다. 그의 아버지는 엄격한 유대인이었다. 데이비드의 할아버지가 바이올린을 못하게 한 것이 한이 되어 아들 데이비드를 피아니스트로 대성시키고자 했다. 어린 데이비드는 비범한 재능을 인정받아 미국 최고의 음악 학교에서 유학 초청장을 받았지만 떠나지 못했다. 부모 형제를 아우슈비츠에서 잃은 데이비드의 아버지가 가족을 지키기 위한 일념 하나로 데이비드의 유학을 반대했기 때문이었다. 아버지 자신이 원한 음악적 성공이었지만 자신의 아집 때문에 자식의 장래에 걸림돌이 되고 말았다.

 

한 번 유학의 꿈이 꺾였지만 또 한 번의 영국 유학 제의가 들어오자 데이비드는 아버지의 반대를 뿌리치고 유학의 길에 오른다. 런던 왕립학교에서 천재적 광기를 발산하면서 음악적 재능을 선보인 그는, 메이저 콘서트에서 악마의 교향곡이라 불리는 라흐마니호프 3번 피아노곡을 완벽하게 연주해 음악적 성공을 거둔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성공을 위해 가족을 버리고 왔다는 죄책감과 그럴수록 더욱 성공해야 한다는 중압감에 시달리다 결국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되고 10년이라는 세월을 격리당한 채 모든 노력과 재능이 산산이 부서진다. 나중에 연인 길리언의 헌신적인 사랑으로 정신세계의 균형을 회복하고 자신을 속박했던 모든 것들로부터 자유롭게 풀려나지만, 그를 구속했던 시간이 없었다면 아마 더 훌륭한 연주가로 성장했을 것이다. 또한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지 못했다면 재기에 성공하지 못했을 것이다.

 

아버지는 데이비드를 사랑하지 않은 게 아니었다. 다만 사랑의 방식이 독재적이었고, 이로 인해 가족과 단절된 데이비드를 방황하게 만든 것이다. 아버지의 권위가 적절할 때 가족이라는 울타리도 평화롭게 유지되는 법이다.

 

부모의 위신은 약한 수준의 통제와 폭력에도 훼손된다_ 비고스키

 

지혜로운 부모가 행복한 아이를 만든다 / 박경애

 

★ 구리시 인창동 현대홈타운 아파트 영재교실

by 미스터신 2015. 12. 21. 11:40
| 1 |